[경제읽기] 미국 '빅스텝' 단행…한은, 추가 금리인상 고심<br /><br /><br />미국이 22년 만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.5%p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습니다.<br /><br />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언급한만큼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FOMC 회의 결과 발표 당일 안도하는 모습을 보였던 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급락하며 우리 증시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,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.5%p 올리는 '빅스텝'을 단행했습니다. 파월 의장은 물가 상승률이 너무 높다는 점을 금리 인상의 배경으로 꼽았는데요. 설명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연준의 빅스텝에도 상승세를 보였던 뉴욕 증시가 하루 만에 급락했습니다. "파월의 발언을 잘못 해석했다"는 말까지 나오는데 왜 그런건가요? 우리 증시와 정부의 반응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연준이 빅스텝 추가 가능성을 시사한만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폭과 시기를 얼마나 키우고 앞당길지도 관심입니다. 5% 근처까지 치솟은 물가 상승률에도 대응해야하고 미국 기준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높아지는 '금리 역전'에 따른 투자 자금 유출과 원화 가치 하락에도 신경을 써야할텐데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 서울 아파트값이 최근 4주간 이어온 보합세를 깨고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. 지난주 잠시 주춤하는 듯했던 아파트 매수심리도 소폭 회복됐는데요.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때문일까요?<br /><br /> 최근 약세가 지속됐던 경기도 아파트값도 1기 신도시 재정비 호재 영향인지 하락세를 멈췄습니다. 전세 시장에선 전·월세 물건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하반기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변수는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석유수출국기구인 OPEC과 러시아 등 다른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'OPEC+'가 6월에도 이번 달과 같은 수준의 석유를 증산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미국 등 서방의 증산 요구에도 불구하고 산유국들이 완만한 증산 속도를 지속하기로 결정한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에 이어 유럽연합인 EU도 회원국들에게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자고 제안했습니다. EU의 러시아 석유 금수조치가 현실화 된다면 국제 유가와 물가 영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